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1)
페이지 소스 보고 해당파일 찾기(삽질중) 웹페이지를 수정하고 싶은데,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면(날코딩) 바로 값을 수정하면 된다. 근데 그런 페이지는 많지 않고, 이런 저런 곳에서 불러온 페이지는 어디서 수정하는지 잘 모르겠다. 크롬 개발자도구에서 elements를 봐도, source를 봐도 모르겠다
Workbench 통해서 DB 접속 DB에 접속 하려면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1. SSH 터널링을 통해 접속 2. DB에 직접 접속 SSH란, Secure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이다. 직접 DB서버에 붙이면 편하긴 하지만 세팅 자체가 복잡하고, 방화벽으로 막혀있는경우가 많고, SI쪽에서는 고객사가 DB서버 포트를 열어주지 않는경우가 비일비재 하다고 한다. ※ 고객사는 알려주지 않는게 아니라 뭐가 뭔지 전혀 모를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초보자는 자신에게 어떤 값이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해당 방법으로 실행이 필요하다. 본문에서는 클라우드 업체에서 DB 세팅을 해줘서 2번 방법으로 접속. 환경 : MySQL DB툴 : MySQL Workbench 1. 새 연결 생성 2. 접속정보 입력 후 테스트..
VScode에서 html 실시간으로 보기 1. Extension에서 Live Server 다운로드 2. 하단의 Go live 클릭 3. 저장(ctrl+s)하면 바로 반영
파일위치를 모를때 FTP에서 파일 검색하기 1. 관리하는 페이지에서 페이지 소스 보기 2. 소스에서 파일 이름 알아내기 3. FTP서버에서 파일검색 FileZilla 기준 서버 - 리모트 파일 검색(F3) - 리모트 검색으로 검색 4. 파일경로 찾기
1.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서비스 개요 NCA: NCP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고 NCP를 이용한 인프라 구성이 가능한 수준 클라우드의 역사 - 1960년대 가상화라는 용어 사용 - 다양한 하이퍼바이저 출현(IBM) 클라우드 사용 이유 - 비용절감 ( 데브옵스,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등 기회 비용 최적화 등을 통한 비용 절감) - 빠른 Deploy (기존 Legacy 인프라에 비해 빠른 인프라 구성 시간) - 글로벌 진출시 용이(글로벌 리전 활용을 통해 글로벌 진출시 보다 빠르고 손쉬운 인프라 구성) - 보안 (인프라에 대한 보안은 공급 업체에 위임)
0. 클라우드 기본 클라우드 정의 이용자는 IT자원(SW, Storage, Server, Network)을 필요한 만큼 빌려서 사용하고, 서비스 부하에 따라서 실시간 확장성을 지원받으며,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컴퓨팅 클라우드 역사 1961 - 최초의 클라우드 개념 / 존 매카시 1967 - 최초의 가상화 상용화 / IBM 2006 - 최초의 클라우드 상용화 / amazon 2010 - 대중에 기대감 정점 현재 - 범용 산업화 단계 클라우드 중요성 글로벌 비지니스 환경 - DX를 촉진하는 기반 *Digital Transformation 국내 산업 환경 - 디지털 뉴딜 사업의 중요한 축 Cloud 서비스 제공자에 따른 모델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 물리적 자원(Server,..
노션 한글 입력 오류 해결방법: 키보드의 WINDOW키 노션 사용중 한글이 지연 출력되는 오류가 발생한다. 왼쪽 상단에 문자열이 나타나면서 한칸씩 밀려서 진행된다. 보통 재부팅을 하거나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해결되나, 급할땐 윈도우키를 누르도록 하자
데이터안심구역 데이터 안심구역이란? -지금까지 접하기 어려웠던 희소가치 높은 유용한 데이터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공간 이번에 분석대회를 참여하며 데이터 안심구역에 가게 되었는데, 공공데이터포털에는 없는 희소가치 있는데이터들이 많다. 직원분들도 엄청 친절하시고, 분석하기 좋은 공간들이 너무 많다. 집만 가까우면 매일 갈텐데, 집이 좀 멀어서 자주 못가는게 아쉽다. 공공데이터로는 부족함을 느꼈던 데이터 분석가님들이 오시면 좋을것 같다! 간단한 이용방법 1. 데이터 안심구역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활용신청 2. 데이터 안심구역에 방문 후 간단한 보안절차를 마친 후 분석실로 이동. 3. 분석실에서 다양한 툴들로 데이터 분석 사용가능 툴 : Jupyter, RStudio, Tableau 등 약간 애매한 부분들..